국립해양생물자원관_해양생물종정보 서비스
분류체계 | 해양수산 - 해양수산·어촌 | 제공기관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
관리부서명 | 국가해양생명자원전략센터 | 관리부서 전화번호 | |
API 유형 | REST | 데이터포맷 | XML |
활용신청 | 54 | 키워드 | 해양생물,분류체계,종 정보 |
등록 | 2021-11-16 | 수정 | 2021-11-22 |
비용부과유무 | 무료 | 신청가능 트래픽 | 개발계정 : 8,000 / 운영계정 : 활용사례 등록시 신청하면 트래픽 증가 가능 |
심의유형 | 개발단계 : 자동승인 / 운영단계 : 심의승인 | ||
이용허락범위 | |||
참고문서 | 해양생물자원관_종분류정보_활용가이드_211105.docx |
요청변수(Request Parameter)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서비스키 | serviceKey | 100 | 필 | -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받은 인증키 |
페이지 번호 | pageNo | 4 | 옵 | 1 | 페이지번호 |
한 페이지 결과 수 | numOfRows | 4 | 옵 | 20 | 한 페이지 결과 수 |
학명 | spcScitfNm | 10 | 옵 | Undaria pinnatifida | 검색 학명 |
국명 | commKorNm | 10 | 옵 | 미역 | 검색 국명 |
과명(영문) | Family | 10 | 옵 | Alariaceae | 검색 과명(영문) |
과명(국문) | FamilyKR | 10 | 옵 | 미역과 | 검색 과명(국문) |
출력결과(Response Element)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결과코드 | ResultCode | 2 | 필 | 0 | 결과코드 |
결과메세지 | ResultMsg | 50 | 필 | Normal Code | 결과메시지 |
한 페이지 결과 수 | numOfRows | 4 | 필 | 20 | 한 페이지당 표출 데이터 수 |
페이지 수 | pageNo | 4 | 필 | 1 | 페이지 수 |
총 결과 수 | totalCount | 4 | 필 | 1 | 총 결과 수 |
계 | Kingdom | 20 | 필 | Chromista | 분류체계 계 |
계(국문) | KingdomKR | 20 | 옵 | 크로미스타계 | 분류체계 계(국문) |
문 | PhylumDivision | 20 | 필 | Ochrophyta | 분류체계 문 |
문(국문) | PhylumDivisionKR | 20 | 옵 | 대롱편모조식물문 | 분류체계 문(국문) |
강 | Class | 20 | 필 | Phaeophyceae | 분류체계 강 |
강(국문) | ClassKR | 20 | 옵 | 갈조강 | 분류체계 강(국문) |
목 | Order | 20 | 필 | Laminariales | 분류체계 목 |
목(국문) | OrderKR | 20 | 옵 | 다시마목 | 분류체계 목(국문) |
과 | Family | 20 | 필 | Alariaceae | 분류체계 과 |
과(국문) | FamilyKR | 20 | 옵 | 나래미역과 | 분류체계 과(국문) |
학명 | SpcScitfNm | 40 | 필 |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1873 | 학명 |
국문명 | CommKorNm | 20 | 옵 | 미역 | 국문명 |
해양기록종 | SpcTyp | 6 | 필 | 기타 | 해양기록종, 담수종, 기타 |
개요 | ABST | 300 | 옵 | 바다에 사는 갈조식물이다. 엽체는 한 장으로 편평하며, 전체 모양이 난원형, 타원형이고, 길이 1.5m이다. 줄기는 편원이고, 상부가 엽상부의 중륵으로 되고, 엽신은 좌우에 우상 열편으로 갈라진다. 엽신 면에는 육안으로 소흑점으로 보이는 모총이 있다. 줄기 양측에는 주름 모양으로 생긴 포자엽이 형성된다. 부착기는 차상분지하는 흡착기로 되어 있다. 조하대 암반에 부착하여 자라며, 주로 겨울철에 생육한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자라며, 전 세계 온대성 해역에 분포한다. | 개요 |
형태 | FORM | 300 | 옵 | 식물체는 갈색이며 나무 뿌리 형태의 부착기로 암반에 착생한다. 줄기 양쪽에 미역귀라 불리우는 포자엽이 발달하고, 줄기는 납작하며 깃털 모양 열편을 가진다. 주로 1~2m까지 자라며 대표적인 식용 갈조류이다. 포자엽은 기부 근처에서부터 줄기 양쪽으로 주름진 형태로 겹쳐져 형성되며, 포자엽 피층 위에 조밀하게 긴 곤봉형의 모자낭군이 형성된다.(Lee, 2008 편집 인용) | 형태 |
생태 | ECOL | 300 | 옵 | 나무뿌리 형태의 부착기로 암반에 착생한다. | 생태 |
배양정보 | CULTIVINF | 300 | 옵 | 배양정보 | |
생화학적 특성 | BIOCHEMICAL | 300 | 옵 | 생화학적 특성 | |
활성정보 | ACTIVINFO | 300 | 옵 |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비만, 항산화, 항알츠하이머병, 항암, 항염증, 항응고 | 활성정보 |
국내분포 | NADI | 300 | 옵 | 외연도, 만리포, 백령도 | 국내분포 |
해외분포 | INDI | 300 | 옵 | 온대성 해역 | 해외분포 |
서식지/생육지 | HABI | 300 | 옵 | 조하대 암반 | 서식지/생육지 |
이용 및 활용 | UTLZ | 300 | 옵 | 식품, 의약품, 산업용 | 이용 및 활용 |
샘플코드는 PC에서 확인해주세요.
분류체계 | 해양수산 - 해양수산·어촌 | |
---|---|---|
제공기관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
관리부서명 | 국가해양생명자원전략센터 | |
관리부서 전화번호 | ||
API 유형 | REST | |
데이터포맷 | XML | |
활용신청 | 54 | |
키워드 | 해양생물,분류체계,종 정보 | |
등록 | 2021-11-16 | |
수정 | 2021-11-22 | |
심의유형 | 개발단계 : 자동승인 / 운영단계 : 심의승인 | |
비용부과유무 | 무료 | |
신청가능 트래픽 | 개발계정 : 8,000 / 운영계정 : 활용사례 등록시 신청하면 트래픽 증가 가능 | |
이용허락범위 | ||
참고문서 | 해양생물자원관_종분류정보_활용가이드_211105.docx |
요청변수(Request Parameter)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서비스키 | serviceKey | 100 | 필 | -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받은 인증키 |
페이지 번호 | pageNo | 4 | 옵 | 1 | 페이지번호 |
한 페이지 결과 수 | numOfRows | 4 | 옵 | 20 | 한 페이지 결과 수 |
학명 | spcScitfNm | 10 | 옵 | Undaria pinnatifida | 검색 학명 |
국명 | commKorNm | 10 | 옵 | 미역 | 검색 국명 |
과명(영문) | Family | 10 | 옵 | Alariaceae | 검색 과명(영문) |
과명(국문) | FamilyKR | 10 | 옵 | 미역과 | 검색 과명(국문) |
출력결과(Response Element)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결과코드 | ResultCode | 2 | 필 | 0 | 결과코드 |
결과메세지 | ResultMsg | 50 | 필 | Normal Code | 결과메시지 |
한 페이지 결과 수 | numOfRows | 4 | 필 | 20 | 한 페이지당 표출 데이터 수 |
페이지 수 | pageNo | 4 | 필 | 1 | 페이지 수 |
총 결과 수 | totalCount | 4 | 필 | 1 | 총 결과 수 |
계 | Kingdom | 20 | 필 | Chromista | 분류체계 계 |
계(국문) | KingdomKR | 20 | 옵 | 크로미스타계 | 분류체계 계(국문) |
문 | PhylumDivision | 20 | 필 | Ochrophyta | 분류체계 문 |
문(국문) | PhylumDivisionKR | 20 | 옵 | 대롱편모조식물문 | 분류체계 문(국문) |
강 | Class | 20 | 필 | Phaeophyceae | 분류체계 강 |
강(국문) | ClassKR | 20 | 옵 | 갈조강 | 분류체계 강(국문) |
목 | Order | 20 | 필 | Laminariales | 분류체계 목 |
목(국문) | OrderKR | 20 | 옵 | 다시마목 | 분류체계 목(국문) |
과 | Family | 20 | 필 | Alariaceae | 분류체계 과 |
과(국문) | FamilyKR | 20 | 옵 | 나래미역과 | 분류체계 과(국문) |
학명 | SpcScitfNm | 40 | 필 |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1873 | 학명 |
국문명 | CommKorNm | 20 | 옵 | 미역 | 국문명 |
해양기록종 | SpcTyp | 6 | 필 | 기타 | 해양기록종, 담수종, 기타 |
개요 | ABST | 300 | 옵 | 바다에 사는 갈조식물이다. 엽체는 한 장으로 편평하며, 전체 모양이 난원형, 타원형이고, 길이 1.5m이다. 줄기는 편원이고, 상부가 엽상부의 중륵으로 되고, 엽신은 좌우에 우상 열편으로 갈라진다. 엽신 면에는 육안으로 소흑점으로 보이는 모총이 있다. 줄기 양측에는 주름 모양으로 생긴 포자엽이 형성된다. 부착기는 차상분지하는 흡착기로 되어 있다. 조하대 암반에 부착하여 자라며, 주로 겨울철에 생육한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자라며, 전 세계 온대성 해역에 분포한다. | 개요 |
형태 | FORM | 300 | 옵 | 식물체는 갈색이며 나무 뿌리 형태의 부착기로 암반에 착생한다. 줄기 양쪽에 미역귀라 불리우는 포자엽이 발달하고, 줄기는 납작하며 깃털 모양 열편을 가진다. 주로 1~2m까지 자라며 대표적인 식용 갈조류이다. 포자엽은 기부 근처에서부터 줄기 양쪽으로 주름진 형태로 겹쳐져 형성되며, 포자엽 피층 위에 조밀하게 긴 곤봉형의 모자낭군이 형성된다.(Lee, 2008 편집 인용) | 형태 |
생태 | ECOL | 300 | 옵 | 나무뿌리 형태의 부착기로 암반에 착생한다. | 생태 |
배양정보 | CULTIVINF | 300 | 옵 | 배양정보 | |
생화학적 특성 | BIOCHEMICAL | 300 | 옵 | 생화학적 특성 | |
활성정보 | ACTIVINFO | 300 | 옵 |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비만, 항산화, 항알츠하이머병, 항암, 항염증, 항응고 | 활성정보 |
국내분포 | NADI | 300 | 옵 | 외연도, 만리포, 백령도 | 국내분포 |
해외분포 | INDI | 300 | 옵 | 온대성 해역 | 해외분포 |
서식지/생육지 | HABI | 300 | 옵 | 조하대 암반 | 서식지/생육지 |
이용 및 활용 | UTLZ | 300 | 옵 | 식품, 의약품, 산업용 | 이용 및 활용 |
샘플코드는 PC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