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기관 |
|
해당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는 기관
|
|
가변문자형(VARCHAR) |
4 |
|
-
|
|
|
|
- |
도로종류 |
|
사람, 차 따위가 잘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비교적 넓은 길을 높고 낮음이나 좋고 나쁨 따위의 차이를 여러층으로 구분한 단계
|
|
가변문자형(VARCHAR) |
3 |
|
-
|
|
|
|
- |
노선번호 |
|
교통기관이 통과하는 출발지점과 목적지점을 잇는 선에 번호를 부여한 것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구간번호 |
|
어떤지점과 다른지점 사이에 번호를 부여한 것
|
|
숫자형(NUMERIC) |
2 |
|
-
|
|
|
|
- |
터널명 |
|
터널에 부여 된 이름
|
|
가변문자형(VARCHAR) |
5 |
|
-
|
|
|
|
- |
시설물종별 |
|
시설물안전법에 따른 건설공사를 통해 만들어진 교량, 터널, 항만, 댐, 건축물 등 그 구조물과 그 부대시설에 대한 법 제7조에 따른 시설물의 종류
|
|
가변문자형(VARCHAR) |
5 |
|
-
|
|
|
|
- |
터널 시점의 구간내 이정 |
|
터널 시작부분의 구간내 노선명
|
|
가변문자형(VARCHAR) |
5 |
|
-
|
|
|
|
- |
터널 종점의 구간내 이정 |
|
터널 끝 부분의 구간내 노선명
|
|
가변문자형(VARCHAR) |
5 |
|
-
|
|
|
|
- |
소재지(주소) |
|
터널이 자리잡고 있는 곳(주소)
|
|
가변문자형(VARCHAR) |
14 |
|
-
|
|
|
|
- |
상태등급 |
|
시설물의 안전등급 산정 중 상태평가에 대한 등급
|
|
가변문자형(VARCHAR) |
3 |
|
-
|
|
|
|
- |
진단결과 |
|
시설물안전법에 따른 교량의 건전성 판정을 위해 실시하는 정밀안전진단의 결과
|
|
가변문자형(VARCHAR) |
3 |
|
-
|
|
|
|
- |
연장_상행 |
|
상행 터널의 전체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연장_하행 |
|
하행 터널의 전체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전체_상행 |
|
상행 터널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전체_하행 |
|
하행 터널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차도_상행 |
|
상행 차량 통행 부분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차도_하행 |
|
하행 차량 통행 부분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보도_상행 |
|
상행 보행자 통행 부분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폭원_보도_하행 |
|
하행 보행자 통행 부분의 전체 폭 길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높이_상행 |
|
상행 터널의 높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높이_하행 |
|
하행 터널의 높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통행제한높이_상행 |
|
상행 터널의 차량 제한 높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통행제한높이_하행 |
|
하행 터널의 차량 제한 높이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형상_상행 |
|
상행 터널의 형상(원형, 말발굽형, 수정말발굽형, 사다리꼴형, 다원형, 사각형 등)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형상_하행 |
|
하행 터널의 형상(원형, 말발굽형, 수정말발굽형, 사다리꼴형, 다원형, 사각형 등)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차로수_상행 |
|
상행 터널의 차량이 통행하도록 정해진 차도의 개수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차로수_하행 |
|
하행 터널의 차량이 통행하도록 정해진 차도의 개수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공법_상행 |
|
상행 터널을 건설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
|
가변문자형(VARCHAR) |
10 |
|
-
|
|
|
|
- |
공법_하행 |
|
하행 터널을 건설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
|
가변문자형(VARCHAR) |
10 |
|
-
|
|
|
|
- |
바닥_두께 |
|
터널 바닥의 두께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바닥_재질 |
|
터널 바닥의 재질
|
|
가변문자형(VARCHAR) |
8 |
|
-
|
|
|
|
- |
천정_두께 |
|
터널 천정의 두께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천정_재질 |
|
터널 천정의 재질
|
|
가변문자형(VARCHAR) |
8 |
|
-
|
|
|
|
- |
측벽_두께 |
|
터널 옆벽의 두께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측벽_재질 |
|
터널 옆벽의 재질
|
|
가변문자형(VARCHAR) |
8 |
|
-
|
|
|
|
- |
종단경사 |
|
도로의 진행방향에 대한 경사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곡선반경 |
|
터널 내 도로의 커브 정도를 나타내는 정도(반지름)
|
|
숫자형(NUMERIC) |
4 |
|
-
|
|
|
|
- |
방재시설_종류 |
|
터널 내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 종류
|
|
가변문자형(VARCHAR) |
17 |
|
-
|
|
|
|
- |
방재시설_수량 |
|
터널 내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 수량
|
|
가변문자형(VARCHAR) |
4 |
|
-
|
|
|
|
- |
조명시설_종류 |
|
광원을 이용해 특정 장소를 밝히는 시설의 종류
|
|
가변문자형(VARCHAR) |
7 |
|
-
|
|
|
|
- |
조명시설_수량 |
|
광원을 이용해 특정 장소를 밝히는 시설의 수량
|
|
가변문자형(VARCHAR) |
4 |
|
-
|
|
|
|
- |
소화설비_종류 |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의 종류
|
|
가변문자형(VARCHAR) |
5 |
|
-
|
|
|
|
- |
소화설비_수량 |
|
물 또는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의 수량
|
|
가변문자형(VARCHAR) |
4 |
|
-
|
|
|
|
- |
라디오 방송설비(유_무) |
|
터널 내 라디오 방송설비 유무
|
|
고정문자형(CHAR) |
1 |
|
-
|
|
|
|
- |
배수시설 |
|
지하수위를 낮추거나 통기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만든 터널 내 물을 빼내는 시설
|
|
가변문자형(VARCHAR) |
10 |
|
-
|
|
|
|
- |
비상전화수량 |
|
화재 발생이나 비상시의 상황을 건물 내 비상 전화로 부터 방재센터에 연락하는 전용 전화기 수량
|
|
가변문자형(VARCHAR) |
2 |
|
-
|
|
|
|
- |
환기설비 |
|
터널 내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설비
|
|
가변문자형(VARCHAR) |
11 |
|
-
|
|
|
|
- |
경보설비 |
|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설비
|
|
가변문자형(VARCHAR) |
11 |
|
-
|
|
|
|
- |
기타설비 |
|
터널 내 환기설비, 경보설비 등을 제외한 기타 설비
|
|
가변문자형(VARCHAR) |
11 |
|
-
|
|
|
|
- |
차량대비시설(유_무) |
|
터널 사고시 차량이 대비할 수 있는 시설의 유무
|
|
고정문자형(CHAR) |
1 |
|
-
|
|
|
|
- |
무정전시스템(유_뮤) |
|
통상적인 전원 공급이 안되거나 정전 시 전력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시스템(UPS) 유무
|
|
고정문자형(CHAR) |
1 |
|
-
|
|
|
|
- |
공사기간 |
|
건설공사 계약의 착수일로부터 완료일까지의 기간
|
|
가변문자형(VARCHAR) |
3 |
|
-
|
|
|
|
- |
시행청 |
|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행정관청
|
|
가변문자형(VARCHAR) |
6 |
|
-
|
|
|
|
- |
시공자 |
|
설계된 도면에 따라 현장에서 공사를 실시하는 건설사
|
|
가변문자형(VARCHAR) |
7 |
|
-
|
|
|
|
- |
설계자 |
|
자기 책임하에 설계 도서를 작성하고 그 설계 도서에 의도한 바를 해설하며 자문하는 자
|
|
가변문자형(VARCHAR) |
8 |
|
-
|
|
|
|
- |
감리자 |
|
공사의 시공과정에서 전문기술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활용하여 발주처의 자문에 응하고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되는가의 여부를 지도하는 자
|
|
가변문자형(VARCHAR) |
8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