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_폐암 병기 조사 정보제공 서비스
분류체계 | 보건 - 보건의료 | 제공기관 | 국립암센터 |
---|---|---|---|
관리부서명 | 중앙암등록본부 | 관리부서 전화번호 | |
API 유형 | REST | 데이터포맷 | JSON+XML |
활용신청 | 110 | 키워드 | 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 |
등록일 | 2020-02-12 | 수정일 | 2024-12-23 |
비용부과유무 | 무료 | 신청가능 트래픽 | 개발계정 : 10,000 / 운영계정 : 활용사례 등록시 신청하면 트래픽 증가 가능 |
심의유형 | 개발단계 : 심의승인 / 운영단계 : 심의승인 | ||
이용허락범위 | |||
참고문서 | 국립암센터_OpenAPI활용가이드_폐암병기조사정보제공서비스_v02.hwp |
요청변수(Request Parameter)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인증키 | serviceKey | 100 | 필 | 인증키(URL Encode)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받은 인증키 |
페이지 번호 | pageNo | 4 | 옵 | 1 | 페이지 번호 |
목록 건수 | numOfRows | 4 | 옵 | 10 | 목록 건수(최대 값: 1000) |
요청 데이터 타입 | resultType | 4 | 옵 | json | 요청 데이터 타입(JSON, XML) |
출력결과(Response Element)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결과코드 | resultCode | 2 | 필 | 0 | 00:성공 |
결과메시지 | resultMsg | 10 | 필 | NORMAL SERVICE | 결과메시지 |
목록데이터 | Items | 0 | 필 | 1 | 목록데이터 |
일련번호 | serial | varchar(9) | 옵 | C1470XXXX | 폐암병기 조사사업을 위해 부여한 번호 |
등록년도 | dbyear | varchar(4) | 옵 | 2014 | 자료등록년도 |
성별 | gender | varchar(1) | 옵 | 1 → 남자, 2 → 여자 | 1. 남자 2. 여자 |
나이 | age | varchar(2) | 옵 | 45 | 나이 |
키 (cm) | height | varchar(5) | 옵 | 178 → 178cm | 키 |
체중 (kg) | weight | varchar(4) | 옵 | 65 → 65kg | 체중 |
내원동기 | reason | varchar(1) | 옵 | 1 → 증상으로 인해 의료기관 내원 | 1.증상 발현 2.우연한발견(흉부영상이상소견) 9.모름 |
증상_1 | symptoms_1 | varchar(1) | 옵 | 1 → 아무 증상 없음 | 1.Asymptomatic |
증상_2 | symptoms_2 | varchar(1) | 옵 | 1 → Cough(+) | 2.Cough |
증상_3 | symptoms_3 | varchar(1) | 옵 | 0 → Sputum(-) | 3.Sputum |
증상_4 | symptoms_4 | varchar(1) | 옵 | 1 → Dyspnea(+) | 4.Dyspnea |
증상_5 | symptoms_5 | varchar(1) | 옵 | 0 → Hoarseness(-) | 5.Hoarseness |
증상_6 | symptoms_6 | varchar(1) | 옵 | 0 → Hemoptysis(-) | 6.Hemoptysis |
증상_7 | symptoms_7 | varchar(1) | 옵 | 1 → Weight loss(+) | 7.Weight loss |
증상_8 | symptoms_8 | varchar(1) | 옵 | 1 → Pain(+) | 8.Pain (chest, head, spine, abdomen, extremity) |
증상_9 | symptoms_9 | varchar(1) | 옵 | 0 → 기타증상 없음 | 9.기타증상 |
흡연 | smoke | varchar(1) | 옵 | 1 → 흡연력(-) | 1.Never smoker 2.Currentsmoker 3.Ex-smoker(1년이상금연자) 9.모름 |
흡연량 | smokedose | varchar(3) | 옵 | 1 → 1갑/일 | 하루 흡연량 |
흡연기간 | smokedur | varchar(2) | 옵 | 15 → 15년 | 흡연기간 (년단위) |
금연 시작 연도 | smokequityr | varchar(4) | 옵 | 2009 → 2009년 | 금연 시작한 연도 |
Performance Status (ECOGPS) | ecog | varchar(1) | 옵 | 0 → ECOG: 0(질병이 없던 때와 동일하게 제한없이 활동이 가능한 상태) | 0. 질병이 없던 때와 동일하게 제한없이 활동이 가능한 상태1.육체적으로힘든활동은제한되나,가벼운일또는앉아서하는일은가능(가벼운집안일또는사무일등)2.자가간호와거동(보행)이가능하나,일은불가능한상태로깨어있는시간의50%이상을침대또는의자를떠나생활할수있음3.자가간호는제한적으로가능하고,깨어있는시간의50%이상을침대또는의자에서보내는경우4.어떤자가간호도할수없는무능력한상태로완전하게침대또는의자에제한됨5.사망9.불명 |
검사시행여부 | PFT | varchar(1) | 옵 | 1 → 폐기능검사 시행함 | 0. 시행안함 1.시행함 |
검사 선택 | test | varchar(1) | 옵 | 2 → post test | 1.pre 2.post |
FVC (L) | fvc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post test 값이 우선) | x.xx |
FEV1 (L) | fev1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post test 값이 우선) | x.xx |
DLco (mL/min/mmHg) | dlco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 | xx.x |
DLco (%) | dlco_percent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 | DLco percent predictive value (%) |
조직학적 진단 연월 | h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조직검사 진단 연월 |
조직학적 진단방법_1 | h_method_1 | varchar(1) | 옵 | 1 → Bronchoscopy 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1.Bronchoscopy |
조직학적 진단방법_2 | h_method_2 | varchar(1) | 옵 | 1 → EBUS-TBNA 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2.EBUS-TBNA |
조직학적 진단방법_3 | h_method_3 | varchar(1) | 옵 | 1 → PCNA/Bx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3.PCNA/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4 | h_method_4 | varchar(1) | 옵 | 0 → LN NA/Bx 시행안함 | 4.LN NA/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5 | h_method_5 | varchar(1) | 옵 | 0 → Surgical Bx 시행안함 | 5.Surgical 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6 | h_method_6 | varchar(1) | 옵 | 0 → Sputum cytology 시행안함 | 6.Sputum cytology |
조직학적 진단방법_7 | h_method_7 | varchar(1) | 옵 | 0 → Effusion cytology 시행안함 | 7.Effusion cytology |
조직학적 진단방법_8 | h_method_8 | varchar(1) | 옵 | 0 → Bx from distant metastasis 시행안함 | 8.Bx from distant metastasis(Liver, Adrenal, Bone, Brain, Skin etc) |
조직학적 진단방법_9 | h_method_9 | varchar(1) | 옵 | 0 → CTC/CT DNA 시행안함 | 9.CTC/CT DNA |
조직학적 진단방법_10 | h_method_10 | varchar(1) | 옵 | 1 → 조직검사 없이 영상검사만으로 폐암진단 받음 | 10.영상만으로 진단 |
조직학적 진단방법_11 | h_method_11 | varchar(1) | 옵 | 0 → 기타 검사 시행안함 | 99.기타 |
조직진단명_1 | h_name_1 | varchar(1) | 옵 | 0 → 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1.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2 | h_name_2 | varchar(1) | 옵 | 1 → Adeno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2.Adeno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3 | h_name_3 | varchar(1) | 옵 | 0 → Large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3.Large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4 | h_name_4 | varchar(1) | 옵 | 0 → NSCLC_NOS 조직진단명 아님 | 4.NSCLC_NOS |
조직진단명_5 | h_name_5 | varchar(1) | 옵 | 1 → Small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5.Small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6 | h_name_6 | varchar(1) | 옵 | 0 → Carcinoid tumor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6.Carcinoid tumor 계열 |
조직진단명_7 | h_name_7 | varchar(1) | 옵 | 1 → 기타 진단명임 | 9.기타 |
조직진단명_기타 | h_name_t | varchar(300) | 옵 | Sarcomatoid carcinoma | 9. 기타 선택시 진단명 기술 |
EGFR mutation | egfr_mutation | varchar(1) | 옵 | 1 → EGFR(+)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ALK IHC | alk_ihc | varchar(1) | 옵 | 0 → ALK IHC(-)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ALK FISH | alk_fish | varchar(1) | 옵 | 1 → ALK FISH(+)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근치적 수술 시행 유무 | treat_s | varchar(1) | 옵 | 1 → 근치적 수술 시행함 | 0.No 1.Yes |
T인자 | hc_t | varchar(1) | 옵 | 4 → T2a | 영상기록에서의 T stage 표시0.Tx 1.T1a 2.T1b 3.T1 NOS4.T2a 5.T2b 6.T2 NOS 7.T38.T4 9. 불명 |
종양최대직경 | hc_maxsize | varchar(4) | 옵 | 5 → 5cm (종양크기: 5x4x3cm) | 영상검사에서 기록된 종양최대직경 입력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1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RUL 에 위치해 있음 | 1.RU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2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ML 에 없음 | 2.RM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3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LL 에 없음 | 3.RL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4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LUL 에 위치해 있음 | 4.LU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5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LLL 에 없음 | 5.LL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6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Main bronchus/carinam hilus of lung 에 없음 | 6.Main bronchus/carina, hilus of lung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7 | varchar(1) | 옵 | 1 → 폐내에 종양이 있는 것은 확인되지만 종양의 위치를 모름 | 7.Lung, NOS |
Main bronchus 침범 유무 | hc_tsite4 | varchar(1) | 옵 | 1 → Main bronchus 침범 있음 | 0.침윤없음 1.침윤있음 9.모름 |
폐쇄성 폐렴 유무 | hc_tsite8 | varchar(1) | 옵 | 1 → 폐쇄성 폐렴 있음 | 0.없음 1.있음 9.모름 |
Separate tumor nodule 여부 | hc_tsite2 | varchar(4) | 옵 | 1 → 원발부위와 동일한 엽에 separate tumor nodule 이 있음 | 0.없음 1.same lobe 2.Ipsilateral lung with different lobe 3.contralateral lung 9.모름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에 침범 없음 | 1.Chest(thoracic) wall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2 | varchar(1) | 옵 | 0 → Diaphragm 에 침범 없음 | 2.Diaphrag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3 | varchar(1) | 옵 | 1 → Pleura 에 침범 있음 | 3.Pleur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4 | varchar(1) | 옵 | 0 → Pericardium 에 침범 없음 | 4.(parietal) pericardiu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5 | varchar(1) | 옵 | 1 → Mediastinum 에 침범 있음 | 5.Mediastinu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6 | varchar(1) | 옵 | 0 → Heart 에 침범 없음 | 6.Heart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7 | varchar(1) | 옵 | 1 → Trachea 에 침범 있음 | 7.Trache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8 | varchar(1) | 옵 | 0 → Esophagus 에 침범 없음 | 8.Esophagu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9 | varchar(1) | 옵 | 0 → Vertebra 에 침범 없음 | 9.Vertebr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0 | varchar(1) | 옵 | 0 → Carina 에 침범 없음 | 10.Carin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1 | varchar(1) | 옵 | 1 → Great vessels 에 침범 있음 | 11.Great vessel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2 | varchar(1) | 옵 | 0 → Phrenic 에 침범 없음 | 12.Phrenic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3 | varchar(1) | 옵 | 0 → Recurrent laryngeal 에 침범 없음 | 13.Recurrent laryngeal (vocal cord paralysi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4 | varchar(1) | 옵 | 0 → Cervical sympathetic 에 침범 없음 | 14.Cervical sympathetic (Horner syndrome)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5 | varchar(1) | 옵 | 0 → Brachial plexus 에 침범 없음 | 15.Brachial plexu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6 | varchar(1) | 옵 | 1 → 1~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침범된 경우 또는 침범은 됐으나 정확한 부위가 확인이 안 된 경우 | 99.모름 |
N인자 | hc_n | varchar(1) | 옵 | 0 → N0 | 임상적 국소림프절 침범 여부0.N0 1.N1 2.N2 3.N3 9.모름 |
N1_site | hc_nsite1_1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Hilar(#10) |
N1_site | hc_nsite1_2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2.Interlobar(#11) |
N1_site | hc_nsite1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peri)Bronchial(#12) |
N1_site | hc_nsite1_4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4.Lobar(#13) |
N1_site | hc_nsite1_5 | varchar(1) | 옵 | 1 → N1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2_site | hc_nsite2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2_site | hc_nsite2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2_site | hc_nsite2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2_site | hc_nsite2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2_site | hc_nsite2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2_site | hc_nsite2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2_site | hc_nsite2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2_site | hc_nsite2_8 | varchar(1) | 옵 | 1 → N2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3_site | hc_nsite3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3_site | hc_nsite3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3_site | hc_nsite3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3_site | hc_nsite3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3_site | hc_nsite3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3_site | hc_nsite3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3_site | hc_nsite3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3_site | hc_nsite3_8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8.Hilar(#10) |
N3_site | hc_nsite3_9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9.Interlobar(#11) |
N3_site | hc_nsite3_10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10.(peri)Bronchial(#12) |
N3_site | hc_nsite3_11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11.Lobar(#13) |
N3_site | hc_nsite3_12 | varchar(1) | 옵 | 1 → Supraclavi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2.Supraclavicular |
N3_site | hc_nsite3_13 | varchar(1) | 옵 | 1 → N3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9.모름 |
M인자 | hc_m | varchar(1) | 옵 | 2 → M1b | 임상적 원격전이 여부0.M0 1.M1a 2.M1b 3.M1 NOS 9.모름 |
M1a_site | hc_msite1_1 | varchar(1) | 옵 | 1 → Malignant pleural effusion(+) | 1.Malignant pleural effusion |
M1a_site | hc_msite1_2 | varchar(1) | 옵 | 0 →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 2.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
M1a_site | hc_msite1_3 | varchar(1) | 옵 | 0 → Pleura nodules(-) | 3.Pleura nodules |
M1a_site | hc_msite1_4 | varchar(1) | 옵 | 1 → Contralateral lung(+), lung to lung(+) | 4.Contralateral lung |
pleura nodule 위치 | hc_msite1_5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leura nodules 있음 | 1.Ipsilateral 2.Contralateral 9.모름 |
M1b_site | hc_msite2_1 | varchar(1) | 옵 | 1 → Bone 으로 전이됨 | 1.Bone (sternum) |
M1b_site | hc_msite2_2 | varchar(1) | 옵 | 1 → Axillary lymph node 로 전이됨 | 2.Extra thoracic LN |
M1b_site | hc_msite2_3 | varchar(1) | 옵 | 1 → Brain 으로 전이됨 | 3.Brain |
M1b_site | hc_msite2_4 | varchar(1) | 옵 | 0 → Adrenal 로 전이 안 됨 | 4.Adrenal |
M1b_site | hc_msite2_5 | varchar(1) | 옵 | 0 → Liver 로 전이 안 됨 | 5.Liver |
M1b_site | hc_msite2_6 | varchar(1) | 옵 | 1 → Kidney 로 전이됨(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전이됨) | 6.기타 |
M1b_기타 | hc_msite2_t | varchar(200) | 옵 | Kidney | 6.기타인 경우 입력 |
전이개수 | hc_msite3 | varchar(1) | 옵 | 2 → 2개 이상 | 1.1개 2.2개 이상 9.모름 |
Clinical Stage | hc_stage_1 | varchar(7) | 옵 | IIIA → cT1aN2M0 | Clinical stage 산출(자동계산) |
SCLC stage | hc_stage_2 | varchar(1) | 옵 | 1 → Limited disease | Small cell carcinoma 인 경우만 입력1.LD(Limiteddisease) 2.ED(Extensive disease) 9.모름 |
T인자 | hp_t | varchar(1) | 옵 | 4 → T2a | 수술후 조직검사에서의 T stage 표시0.Tx 1.T1a 2.T1b 3.T1 NOS4.T2a 5.T2b 6.T2 NOS 7.T38.T4 9. 불명 |
종양최대직경 | hp_maxsiae | varchar(4) | 옵 | 5 → 5cm (종양크기: 5x4x3cm) | 수술후 조직검사결과에 기록된 종양최대직경 입력 |
흉막침범 | hp_pleura | varchar(1) | 옵 | 1 → PL1 | 0. PL0: PL invasion 증거 없음1.PL1:visceralpleuralinvasion,limitedtothevisceralpleura2.PL2:invasiontothesurfaceofthevisceralpleura3.PL3:extendtotheparietalpleura4.Pleurainvasion,NOS9.불명,unknown |
Main bronchus 침범 유무 | hp_tsite4 | varchar(4) | 옵 | 1 → Main bronchus 침범 있음 | 0.침윤없음 1.침윤있음 9.모름 |
폐쇄성 폐렴 유무 | hp_tsite8 | varchar(1) | 옵 | 1 → 폐쇄성 폐렴 있음 | 0.없음 1.있음 9.모름 |
Separate tumor nodule 여부 | hp_tsite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동일한 엽에 separate tumor nodule 이 있음 | 0.없음 1.same lobe 2.Ipsilateral lung with different lobe 3.contralateral lung 9.모름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에 침범 없음 | 1.Chest(thoracic) wall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2 | varchar(1) | 옵 | 0 → Diaphragm 에 침범 없음 | 2.Diaphrag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3 | varchar(1) | 옵 | 1 → Pleura 에 침범 있음 | 3.Pleur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4 | varchar(1) | 옵 | 0 → Pericardium 에 침범 없음 | 4.(parietal) pericardiu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5 | varchar(1) | 옵 | 1 → Mediastinum 에 침범 있음 | 5.Mediastinu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6 | varchar(1) | 옵 | 0 → Heart 에 침범 없음 | 6.Heart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7 | varchar(1) | 옵 | 1 → Trachea 에 침범 있음 | 7.Trache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8 | varchar(1) | 옵 | 0 → Esophagus 에 침범 없음 | 8.Esophagu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9 | varchar(1) | 옵 | 0 → Vertebra 에 침범 없음 | 9.Vertebr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0 | varchar(1) | 옵 | 0 → Carina 에 침범 없음 | 10.Carin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1 | varchar(1) | 옵 | 1 → Great vessels 에 침범 있음 | 11.Great vessel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2 | varchar(1) | 옵 | 0 → Phrenic 에 침범 없음 | 12.Phrenic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3 | varchar(1) | 옵 | 0 → Recurrent laryngeal 에 침범 없음 | 13.Recurrent laryngeal (vocal cord paralysi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4 | varchar(1) | 옵 | 0 → Cervical sympathetic 에 침범 없음 | 14.Cervical sympathetic (Horner syndrome)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5 | varchar(1) | 옵 | 0 → Brachial plexus 에 침범 없음 | 15.Brachial plexu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6 | varchar(1) | 옵 | 1 → 1~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침범된 경우 또는 침범은 됐으나 정확한 부위가 확인이 안 된 경우 | 99.모름 |
N인자 | hp_n | varchar(1) | 옵 | 0 → N0 | 조직학적 국소림프절 침범 여부0.N0 1.N1 2.N2 3.N3 9.모름 |
N1_site | hp_nsite1_1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Hilar(#10) |
N1_site | hp_nsite1_2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2.Interlobar(#11) |
N1_site | hp_nsite1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peri)Bronchial(#12) |
N1_site | hp_nsite1_4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4.Lobar(#13) |
N1_site | hp_nsite1_5 | varchar(1) | 옵 | 1 → N1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2_site | hp_nsite2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2_site | hp_nsite2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2_site | hp_nsite2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2_site | hp_nsite2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2_site | hp_nsite2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2_site | hp_nsite2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2_site | hp_nsite2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2_site | hp_nsite2_8 | varchar(1) | 옵 | 1 → N2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3_site | hp_nsite3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3_site | hp_nsite3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3_site | hp_nsite3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3_site | hp_nsite3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3_site | hp_nsite3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3_site | hp_nsite3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3_site | hp_nsite3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3_site | hp_nsite3_8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8.Hilar(#10) |
N3_site | hp_nsite3_9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9.Interlobar(#11) |
N3_site | hp_nsite3_10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10.(peri)Bronchial(#12) |
N3_site | hp_nsite3_11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11.Lobar(#13) |
N3_site | hp_nsite3_12 | varchar(1) | 옵 | 1 → Supraclavi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2.Supraclavicular |
N3_site | hp_nsite3_13 | varchar(1) | 옵 | 1 → N3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9.모름 |
M인자 | hp_m | varchar(1) | 옵 | 0 → M0 | 조직학적 원격전이 여부0.M0 1.M1a 2.M1b 3.M1 NOS 9.모름 |
Pathological Stage | hp_stage | varchar(7) | 옵 | IIIA → pT1aN2M0 | Pathological stage 산출(자동계산)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1 | varchar(1) | 옵 | 0 → 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1.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2 | varchar(1) | 옵 | 1 → Adeno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2.Adeno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3 | varchar(1) | 옵 | 0 → Large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3.Large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4 | varchar(1) | 옵 | 0 → NSCLC_NOS 조직진단명 아님 | 4.NSCLC_NOS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5 | varchar(1) | 옵 | 1 → Small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5.Small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6 | varchar(1) | 옵 | 0 → Carcinoid tumor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6.Carcinoid tumor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7 | varchar(1) | 옵 | 1 → 기타 진단명임 | 9.기타 |
수술진단명 (text) | s_name_t | varchar(200) | 옵 | Sarcomatoid carcinoma | 9. 기타 선택시 진단명 기술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1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RUL 에 위치해 있음 | 1.RU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2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ML 에 없음 | 2.RM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3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LL 에 없음 | 3.RL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4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LUL 에 위치해 있음 | 4.LU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5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LLL 에 없음 | 5.LL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6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Main bronchus/carinam hilus of lung 에 없음 | 6.Main bronchus/carina, hilus of lung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7 | varchar(1) | 옵 | 1 → 폐내에 종양이 있는 것은 확인되지만 종양의 위치를 모름 | 7.Lung, NOS |
종양의 개수 | s_number | varchar(1) | 옵 | 2 → 2개 | 1.1개 2.2개 3.3개 4.4개 5.5개 이상 9.모름 |
수술 차수(1차) | op_no | varchar(1) | 옵 | 1 → 1차 수술 시행함 | 1차 수술 시행한 경우, 1로 입력함 |
수술 시행 연월 | op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1차 수술 시행 연월 |
수술 목적 | op_object | varchar(1) | 옵 | 2 → 근치목적의 수술 시행함 | 1.Diagnosis 2.Curative 3.Palliative 9.모름 |
수술명 | op_name_1 | varchar(1) | 옵 | 1 → lobectomy 시행함 | 1.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2 | varchar(1) | 옵 | 0 → Bilobectomy 시행하지 않음 | 2.Bi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3 | varchar(1) | 옵 | 0 → Segmentectomy 시행하지 않음 | 3.Segmentectomy |
수술명 | op_name_4 | varchar(1) | 옵 | 1 → Wedge resection 시행함 | 4.Wedge resection |
수술명 | op_name_5 | varchar(1) | 옵 | 0 → Sleeve lobectomy 시행하지 않음 | 5.Sleeve 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6 | varchar(1) | 옵 | 0 → Pneumonectomy 시행하지 않음 | 6.Pneumonectomy |
수술명 | op_name_7 | varchar(1) | 옵 | 1 → Pleura bx 시행함 | 7.Pleura bx |
수술명 | op_name_8 | varchar(1) | 옵 | 1 → LN bx 시행함 | 8.LN bx |
수술명 | op_name_9 | varchar(1) | 옵 | 0 → 기타 수술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수술명 | op_name_10 | varchar(1) | 옵 | 1 →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수술명을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수술명 | op_name_t | varchar(200) | 옵 | Removal of brain tumor | 9.기타 선택시 기술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1 | varchar(1) | 옵 | 1 → 개흉(Thoracotomy/Open)으로 수술 시행함 | 1.개흉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2 | varchar(1) | 옵 | 1 → 흉강경(Thoracoscoy/VATS)으로 수술 시행함 | 2.흉강경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3 | varchar(1) | 옵 | 0 → 종격동경으로 수술 시행하지 않음 | 3.종격동경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4 | varchar(1) | 옵 | 0 → 로봇 수술 시행하지 않음 | 4.로봇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5 | varchar(1) | 옵 | 0 → 기타 방법으로 수술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6 | varchar(1) | 옵 | 1 →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수술 접근법을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수술법 | op_approach_t | varchar(38) | 옵 | Craniotomy | 9.기타 선택시 기술 |
부가 절제술 | op_add_1 | varchar(1) | 옵 | 1 → Pleura 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함 | 1.Pleura |
부가 절제술 | op_add_2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을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2.Chest wall |
부가 절제술 | op_add_3 | varchar(1) | 옵 | 0 → Trachea 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3.Trachea |
부가 절제술 | op_add_4 | varchar(1) | 옵 | 0 → 심혈관계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4.심혈관계 |
부가 절제술 | op_add_5 | varchar(1) | 옵 | 0 → 기타 부위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부가 절제술 | op_add_6 | varchar(1) | 옵 | 1 → 부가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부위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절제술 | op_describe | varchar(200) | 옵 | Lt. recurrent laryngeal nerve | 9.기타 선택시 기술 |
Mediastinal LN resection | op_lnd | varchar(1) | 옵 | 2 → Mediastinal LN resection 시행함 | 0.no 1.sampling 2.dissection 3.sampling or dissection 9.모름 |
완전절제술 | op_comp | varchar(1) | 옵 | 0 → R0 | 0.R0 1.R1 2.R2 9.모름 |
합병증 | op_cx | varchar(1) | 옵 | 1 → 수술후 합병증 있음(air leakage) | 0.없음 1.있음 2.사망(수술후30일이내) 9.모름 |
방사선치료 차수(1차) | rt | varchar(1) | 옵 | 1 → 1차 방사선 치료 시행함 | 1차 방사선 치료한 경우, 1로 입력함 |
항암치료 차수(1차) | med1_line | varchar(1) | 옵 | 1 → 1차 항암 치료 시행함 | 1차 항암 치료한 경우, 1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1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1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1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1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1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항암치료 차수(2차) | med2_line | varchar(1) | 옵 | 2 → 2차 항암 치료 시행함 | 2차 항암 치료한 경우, 2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2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2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2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2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2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항암치료 차수(3차) | med3_line | varchar(1) | 옵 | 3 → 3차 항암 치료 시행함 | 3차 항암 치료한 경우, 3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3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3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3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3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3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재발/전이 유무 | recur1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없음 | 0.No |
재발/전이 유무 | recur2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있음 | 1.Yes |
재발/전이 유무 | recur4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유무 모름 | 9.모름 |
재발/전이 확인 연월 | recur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재발/전이를 확인한 연월 |
최종 내원 연월 | last_followup | varchar(6) | 옵 | YYYYMM | 의무기록을 확인한 환자의 최종 내원 연월 |
치료완전성 | tx_com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치료를 시행함 | 0.No 1.Yes 9.모름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1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수술 치료를 시행함 | 1.수술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2 | varchar(1) | 옵 | 0 → 본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2.방사선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3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항암 치료를 시행함 | 3.항암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4 | varchar(1) | 옵 | 0 → 본원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4.보존적치료(supportive care)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5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기타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9.Others |
샘플코드는 PC에서 확인해주세요.
분류체계 | 보건 - 보건의료 | |
---|---|---|
제공기관 | 국립암센터 | |
관리부서명 | 중앙암등록본부 | |
관리부서 전화번호 | ||
API 유형 | REST | |
데이터포맷 | JSON+XML | |
활용신청 | 110 | |
키워드 | 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국립암센터, 암정보, 협력병기 | |
등록일 | 2020-02-12 | |
수정일 | 2024-12-23 | |
심의유형 | 개발단계 : 심의승인 / 운영단계 : 심의승인 | |
비용부과유무 | 무료 | |
신청가능 트래픽 | 개발계정 : 10,000 / 운영계정 : 활용사례 등록시 신청하면 트래픽 증가 가능 | |
이용허락범위 | ||
참고문서 | 국립암센터_OpenAPI활용가이드_폐암병기조사정보제공서비스_v02.hwp |
요청변수(Request Parameter)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인증키 | serviceKey | 100 | 필 | 인증키(URL Encode) |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받은 인증키 |
페이지 번호 | pageNo | 4 | 옵 | 1 | 페이지 번호 |
목록 건수 | numOfRows | 4 | 옵 | 10 | 목록 건수(최대 값: 1000) |
요청 데이터 타입 | resultType | 4 | 옵 | json | 요청 데이터 타입(JSON, XML) |
출력결과(Response Element)
항목명(국문) | 항목명(영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결과코드 | resultCode | 2 | 필 | 0 | 00:성공 |
결과메시지 | resultMsg | 10 | 필 | NORMAL SERVICE | 결과메시지 |
목록데이터 | Items | 0 | 필 | 1 | 목록데이터 |
일련번호 | serial | varchar(9) | 옵 | C1470XXXX | 폐암병기 조사사업을 위해 부여한 번호 |
등록년도 | dbyear | varchar(4) | 옵 | 2014 | 자료등록년도 |
성별 | gender | varchar(1) | 옵 | 1 → 남자, 2 → 여자 | 1. 남자 2. 여자 |
나이 | age | varchar(2) | 옵 | 45 | 나이 |
키 (cm) | height | varchar(5) | 옵 | 178 → 178cm | 키 |
체중 (kg) | weight | varchar(4) | 옵 | 65 → 65kg | 체중 |
내원동기 | reason | varchar(1) | 옵 | 1 → 증상으로 인해 의료기관 내원 | 1.증상 발현 2.우연한발견(흉부영상이상소견) 9.모름 |
증상_1 | symptoms_1 | varchar(1) | 옵 | 1 → 아무 증상 없음 | 1.Asymptomatic |
증상_2 | symptoms_2 | varchar(1) | 옵 | 1 → Cough(+) | 2.Cough |
증상_3 | symptoms_3 | varchar(1) | 옵 | 0 → Sputum(-) | 3.Sputum |
증상_4 | symptoms_4 | varchar(1) | 옵 | 1 → Dyspnea(+) | 4.Dyspnea |
증상_5 | symptoms_5 | varchar(1) | 옵 | 0 → Hoarseness(-) | 5.Hoarseness |
증상_6 | symptoms_6 | varchar(1) | 옵 | 0 → Hemoptysis(-) | 6.Hemoptysis |
증상_7 | symptoms_7 | varchar(1) | 옵 | 1 → Weight loss(+) | 7.Weight loss |
증상_8 | symptoms_8 | varchar(1) | 옵 | 1 → Pain(+) | 8.Pain (chest, head, spine, abdomen, extremity) |
증상_9 | symptoms_9 | varchar(1) | 옵 | 0 → 기타증상 없음 | 9.기타증상 |
흡연 | smoke | varchar(1) | 옵 | 1 → 흡연력(-) | 1.Never smoker 2.Currentsmoker 3.Ex-smoker(1년이상금연자) 9.모름 |
흡연량 | smokedose | varchar(3) | 옵 | 1 → 1갑/일 | 하루 흡연량 |
흡연기간 | smokedur | varchar(2) | 옵 | 15 → 15년 | 흡연기간 (년단위) |
금연 시작 연도 | smokequityr | varchar(4) | 옵 | 2009 → 2009년 | 금연 시작한 연도 |
Performance Status (ECOGPS) | ecog | varchar(1) | 옵 | 0 → ECOG: 0(질병이 없던 때와 동일하게 제한없이 활동이 가능한 상태) | 0. 질병이 없던 때와 동일하게 제한없이 활동이 가능한 상태1.육체적으로힘든활동은제한되나,가벼운일또는앉아서하는일은가능(가벼운집안일또는사무일등)2.자가간호와거동(보행)이가능하나,일은불가능한상태로깨어있는시간의50%이상을침대또는의자를떠나생활할수있음3.자가간호는제한적으로가능하고,깨어있는시간의50%이상을침대또는의자에서보내는경우4.어떤자가간호도할수없는무능력한상태로완전하게침대또는의자에제한됨5.사망9.불명 |
검사시행여부 | PFT | varchar(1) | 옵 | 1 → 폐기능검사 시행함 | 0. 시행안함 1.시행함 |
검사 선택 | test | varchar(1) | 옵 | 2 → post test | 1.pre 2.post |
FVC (L) | fvc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post test 값이 우선) | x.xx |
FEV1 (L) | fev1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post test 값이 우선) | x.xx |
DLco (mL/min/mmHg) | dlco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 | xx.x |
DLco (%) | dlco_percent | varchar(4) | 옵 | 폐암진단시 검사값 | DLco percent predictive value (%) |
조직학적 진단 연월 | h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조직검사 진단 연월 |
조직학적 진단방법_1 | h_method_1 | varchar(1) | 옵 | 1 → Bronchoscopy 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1.Bronchoscopy |
조직학적 진단방법_2 | h_method_2 | varchar(1) | 옵 | 1 → EBUS-TBNA 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2.EBUS-TBNA |
조직학적 진단방법_3 | h_method_3 | varchar(1) | 옵 | 1 → PCNA/Bx검사로 폐암진단 받음 | 3.PCNA/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4 | h_method_4 | varchar(1) | 옵 | 0 → LN NA/Bx 시행안함 | 4.LN NA/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5 | h_method_5 | varchar(1) | 옵 | 0 → Surgical Bx 시행안함 | 5.Surgical Bx |
조직학적 진단방법_6 | h_method_6 | varchar(1) | 옵 | 0 → Sputum cytology 시행안함 | 6.Sputum cytology |
조직학적 진단방법_7 | h_method_7 | varchar(1) | 옵 | 0 → Effusion cytology 시행안함 | 7.Effusion cytology |
조직학적 진단방법_8 | h_method_8 | varchar(1) | 옵 | 0 → Bx from distant metastasis 시행안함 | 8.Bx from distant metastasis(Liver, Adrenal, Bone, Brain, Skin etc) |
조직학적 진단방법_9 | h_method_9 | varchar(1) | 옵 | 0 → CTC/CT DNA 시행안함 | 9.CTC/CT DNA |
조직학적 진단방법_10 | h_method_10 | varchar(1) | 옵 | 1 → 조직검사 없이 영상검사만으로 폐암진단 받음 | 10.영상만으로 진단 |
조직학적 진단방법_11 | h_method_11 | varchar(1) | 옵 | 0 → 기타 검사 시행안함 | 99.기타 |
조직진단명_1 | h_name_1 | varchar(1) | 옵 | 0 → 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1.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2 | h_name_2 | varchar(1) | 옵 | 1 → Adeno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2.Adeno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3 | h_name_3 | varchar(1) | 옵 | 0 → Large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3.Large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4 | h_name_4 | varchar(1) | 옵 | 0 → NSCLC_NOS 조직진단명 아님 | 4.NSCLC_NOS |
조직진단명_5 | h_name_5 | varchar(1) | 옵 | 1 → Small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5.Small cell carcinoma 계열 |
조직진단명_6 | h_name_6 | varchar(1) | 옵 | 0 → Carcinoid tumor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6.Carcinoid tumor 계열 |
조직진단명_7 | h_name_7 | varchar(1) | 옵 | 1 → 기타 진단명임 | 9.기타 |
조직진단명_기타 | h_name_t | varchar(300) | 옵 | Sarcomatoid carcinoma | 9. 기타 선택시 진단명 기술 |
EGFR mutation | egfr_mutation | varchar(1) | 옵 | 1 → EGFR(+)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ALK IHC | alk_ihc | varchar(1) | 옵 | 0 → ALK IHC(-)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ALK FISH | alk_fish | varchar(1) | 옵 | 1 → ALK FISH(+) | 0.음성(-) 1.양성(+) 9.시행 안함 |
근치적 수술 시행 유무 | treat_s | varchar(1) | 옵 | 1 → 근치적 수술 시행함 | 0.No 1.Yes |
T인자 | hc_t | varchar(1) | 옵 | 4 → T2a | 영상기록에서의 T stage 표시0.Tx 1.T1a 2.T1b 3.T1 NOS4.T2a 5.T2b 6.T2 NOS 7.T38.T4 9. 불명 |
종양최대직경 | hc_maxsize | varchar(4) | 옵 | 5 → 5cm (종양크기: 5x4x3cm) | 영상검사에서 기록된 종양최대직경 입력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1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RUL 에 위치해 있음 | 1.RU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2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ML 에 없음 | 2.RM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3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LL 에 없음 | 3.RL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4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LUL 에 위치해 있음 | 4.LU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5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LLL 에 없음 | 5.LLL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6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Main bronchus/carinam hilus of lung 에 없음 | 6.Main bronchus/carina, hilus of lung |
종양의 위치 | hc_location_7 | varchar(1) | 옵 | 1 → 폐내에 종양이 있는 것은 확인되지만 종양의 위치를 모름 | 7.Lung, NOS |
Main bronchus 침범 유무 | hc_tsite4 | varchar(1) | 옵 | 1 → Main bronchus 침범 있음 | 0.침윤없음 1.침윤있음 9.모름 |
폐쇄성 폐렴 유무 | hc_tsite8 | varchar(1) | 옵 | 1 → 폐쇄성 폐렴 있음 | 0.없음 1.있음 9.모름 |
Separate tumor nodule 여부 | hc_tsite2 | varchar(4) | 옵 | 1 → 원발부위와 동일한 엽에 separate tumor nodule 이 있음 | 0.없음 1.same lobe 2.Ipsilateral lung with different lobe 3.contralateral lung 9.모름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에 침범 없음 | 1.Chest(thoracic) wall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2 | varchar(1) | 옵 | 0 → Diaphragm 에 침범 없음 | 2.Diaphrag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3 | varchar(1) | 옵 | 1 → Pleura 에 침범 있음 | 3.Pleur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4 | varchar(1) | 옵 | 0 → Pericardium 에 침범 없음 | 4.(parietal) pericardiu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5 | varchar(1) | 옵 | 1 → Mediastinum 에 침범 있음 | 5.Mediastinum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6 | varchar(1) | 옵 | 0 → Heart 에 침범 없음 | 6.Heart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7 | varchar(1) | 옵 | 1 → Trachea 에 침범 있음 | 7.Trache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8 | varchar(1) | 옵 | 0 → Esophagus 에 침범 없음 | 8.Esophagu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9 | varchar(1) | 옵 | 0 → Vertebra 에 침범 없음 | 9.Vertebr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0 | varchar(1) | 옵 | 0 → Carina 에 침범 없음 | 10.Carina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1 | varchar(1) | 옵 | 1 → Great vessels 에 침범 있음 | 11.Great vessel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2 | varchar(1) | 옵 | 0 → Phrenic 에 침범 없음 | 12.Phrenic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3 | varchar(1) | 옵 | 0 → Recurrent laryngeal 에 침범 없음 | 13.Recurrent laryngeal (vocal cord paralysi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4 | varchar(1) | 옵 | 0 → Cervical sympathetic 에 침범 없음 | 14.Cervical sympathetic (Horner syndrome)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5 | varchar(1) | 옵 | 0 → Brachial plexus 에 침범 없음 | 15.Brachial plexus |
종양 침범 정도 | hc_tsite6_16 | varchar(1) | 옵 | 1 → 1~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침범된 경우 또는 침범은 됐으나 정확한 부위가 확인이 안 된 경우 | 99.모름 |
N인자 | hc_n | varchar(1) | 옵 | 0 → N0 | 임상적 국소림프절 침범 여부0.N0 1.N1 2.N2 3.N3 9.모름 |
N1_site | hc_nsite1_1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Hilar(#10) |
N1_site | hc_nsite1_2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2.Interlobar(#11) |
N1_site | hc_nsite1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peri)Bronchial(#12) |
N1_site | hc_nsite1_4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4.Lobar(#13) |
N1_site | hc_nsite1_5 | varchar(1) | 옵 | 1 → N1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2_site | hc_nsite2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2_site | hc_nsite2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2_site | hc_nsite2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2_site | hc_nsite2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2_site | hc_nsite2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2_site | hc_nsite2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2_site | hc_nsite2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2_site | hc_nsite2_8 | varchar(1) | 옵 | 1 → N2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3_site | hc_nsite3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3_site | hc_nsite3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3_site | hc_nsite3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3_site | hc_nsite3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3_site | hc_nsite3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3_site | hc_nsite3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3_site | hc_nsite3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3_site | hc_nsite3_8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8.Hilar(#10) |
N3_site | hc_nsite3_9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9.Interlobar(#11) |
N3_site | hc_nsite3_10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10.(peri)Bronchial(#12) |
N3_site | hc_nsite3_11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11.Lobar(#13) |
N3_site | hc_nsite3_12 | varchar(1) | 옵 | 1 → Supraclavi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2.Supraclavicular |
N3_site | hc_nsite3_13 | varchar(1) | 옵 | 1 → N3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9.모름 |
M인자 | hc_m | varchar(1) | 옵 | 2 → M1b | 임상적 원격전이 여부0.M0 1.M1a 2.M1b 3.M1 NOS 9.모름 |
M1a_site | hc_msite1_1 | varchar(1) | 옵 | 1 → Malignant pleural effusion(+) | 1.Malignant pleural effusion |
M1a_site | hc_msite1_2 | varchar(1) | 옵 | 0 →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 2.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
M1a_site | hc_msite1_3 | varchar(1) | 옵 | 0 → Pleura nodules(-) | 3.Pleura nodules |
M1a_site | hc_msite1_4 | varchar(1) | 옵 | 1 → Contralateral lung(+), lung to lung(+) | 4.Contralateral lung |
pleura nodule 위치 | hc_msite1_5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leura nodules 있음 | 1.Ipsilateral 2.Contralateral 9.모름 |
M1b_site | hc_msite2_1 | varchar(1) | 옵 | 1 → Bone 으로 전이됨 | 1.Bone (sternum) |
M1b_site | hc_msite2_2 | varchar(1) | 옵 | 1 → Axillary lymph node 로 전이됨 | 2.Extra thoracic LN |
M1b_site | hc_msite2_3 | varchar(1) | 옵 | 1 → Brain 으로 전이됨 | 3.Brain |
M1b_site | hc_msite2_4 | varchar(1) | 옵 | 0 → Adrenal 로 전이 안 됨 | 4.Adrenal |
M1b_site | hc_msite2_5 | varchar(1) | 옵 | 0 → Liver 로 전이 안 됨 | 5.Liver |
M1b_site | hc_msite2_6 | varchar(1) | 옵 | 1 → Kidney 로 전이됨(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전이됨) | 6.기타 |
M1b_기타 | hc_msite2_t | varchar(200) | 옵 | Kidney | 6.기타인 경우 입력 |
전이개수 | hc_msite3 | varchar(1) | 옵 | 2 → 2개 이상 | 1.1개 2.2개 이상 9.모름 |
Clinical Stage | hc_stage_1 | varchar(7) | 옵 | IIIA → cT1aN2M0 | Clinical stage 산출(자동계산) |
SCLC stage | hc_stage_2 | varchar(1) | 옵 | 1 → Limited disease | Small cell carcinoma 인 경우만 입력1.LD(Limiteddisease) 2.ED(Extensive disease) 9.모름 |
T인자 | hp_t | varchar(1) | 옵 | 4 → T2a | 수술후 조직검사에서의 T stage 표시0.Tx 1.T1a 2.T1b 3.T1 NOS4.T2a 5.T2b 6.T2 NOS 7.T38.T4 9. 불명 |
종양최대직경 | hp_maxsiae | varchar(4) | 옵 | 5 → 5cm (종양크기: 5x4x3cm) | 수술후 조직검사결과에 기록된 종양최대직경 입력 |
흉막침범 | hp_pleura | varchar(1) | 옵 | 1 → PL1 | 0. PL0: PL invasion 증거 없음1.PL1:visceralpleuralinvasion,limitedtothevisceralpleura2.PL2:invasiontothesurfaceofthevisceralpleura3.PL3:extendtotheparietalpleura4.Pleurainvasion,NOS9.불명,unknown |
Main bronchus 침범 유무 | hp_tsite4 | varchar(4) | 옵 | 1 → Main bronchus 침범 있음 | 0.침윤없음 1.침윤있음 9.모름 |
폐쇄성 폐렴 유무 | hp_tsite8 | varchar(1) | 옵 | 1 → 폐쇄성 폐렴 있음 | 0.없음 1.있음 9.모름 |
Separate tumor nodule 여부 | hp_tsite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동일한 엽에 separate tumor nodule 이 있음 | 0.없음 1.same lobe 2.Ipsilateral lung with different lobe 3.contralateral lung 9.모름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에 침범 없음 | 1.Chest(thoracic) wall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2 | varchar(1) | 옵 | 0 → Diaphragm 에 침범 없음 | 2.Diaphrag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3 | varchar(1) | 옵 | 1 → Pleura 에 침범 있음 | 3.Pleur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4 | varchar(1) | 옵 | 0 → Pericardium 에 침범 없음 | 4.(parietal) pericardiu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5 | varchar(1) | 옵 | 1 → Mediastinum 에 침범 있음 | 5.Mediastinum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6 | varchar(1) | 옵 | 0 → Heart 에 침범 없음 | 6.Heart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7 | varchar(1) | 옵 | 1 → Trachea 에 침범 있음 | 7.Trache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8 | varchar(1) | 옵 | 0 → Esophagus 에 침범 없음 | 8.Esophagu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9 | varchar(1) | 옵 | 0 → Vertebra 에 침범 없음 | 9.Vertebr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0 | varchar(1) | 옵 | 0 → Carina 에 침범 없음 | 10.Carina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1 | varchar(1) | 옵 | 1 → Great vessels 에 침범 있음 | 11.Great vessel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2 | varchar(1) | 옵 | 0 → Phrenic 에 침범 없음 | 12.Phrenic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3 | varchar(1) | 옵 | 0 → Recurrent laryngeal 에 침범 없음 | 13.Recurrent laryngeal (vocal cord paralysi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4 | varchar(1) | 옵 | 0 → Cervical sympathetic 에 침범 없음 | 14.Cervical sympathetic (Horner syndrome)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5 | varchar(1) | 옵 | 0 → Brachial plexus 에 침범 없음 | 15.Brachial plexus |
종양 침범 정도 | hp_tsite6_16 | varchar(1) | 옵 | 1 → 1~15번 해당부위 이외 부위에 침범된 경우 또는 침범은 됐으나 정확한 부위가 확인이 안 된 경우 | 99.모름 |
N인자 | hp_n | varchar(1) | 옵 | 0 → N0 | 조직학적 국소림프절 침범 여부0.N0 1.N1 2.N2 3.N3 9.모름 |
N1_site | hp_nsite1_1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Hilar(#10) |
N1_site | hp_nsite1_2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2.Interlobar(#11) |
N1_site | hp_nsite1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peri)Bronchial(#12) |
N1_site | hp_nsite1_4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4.Lobar(#13) |
N1_site | hp_nsite1_5 | varchar(1) | 옵 | 1 → N1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2_site | hp_nsite2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2_site | hp_nsite2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2_site | hp_nsite2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2_site | hp_nsite2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2_site | hp_nsite2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2_site | hp_nsite2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같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2_site | hp_nsite2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2_site | hp_nsite2_8 | varchar(1) | 옵 | 1 → N2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모름 |
N3_site | hp_nsite3_1 | varchar(1) | 옵 | 0 → Upp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1.Upper paratracheal(#2) |
N3_site | hp_nsite3_2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Prevas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2.Prevascular, rectrotracheal(#3) |
N3_site | hp_nsite3_3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Lower paratracheal lymph node 침범 있음 | 3.Lower paratracheal(#4) |
N3_site | hp_nsite3_4 | varchar(1) | 옵 | 0 → Sub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4.Subaortic(#5) |
N3_site | hp_nsite3_5 | varchar(1) | 옵 | 0 → Paraaortic lymph node 침범 없음 | 5.Paraaortic(#6) |
N3_site | hp_nsite3_6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Subcarinal lymph node 침범 있음 | 6.Subcarinal(#7) |
N3_site | hp_nsite3_7 | varchar(1) | 옵 | 0 → Paraesophageal lymph node 침범 없음 | 7.Paraesophageal(#8) |
N3_site | hp_nsite3_8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Hi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8.Hilar(#10) |
N3_site | hp_nsite3_9 | varchar(1) | 옵 | 0 → Inter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9.Interlobar(#11) |
N3_site | hp_nsite3_10 | varchar(1) | 옵 | 1 → 원발부위와 반대쪽의 Bronchial lymph node 침범 있음 | 10.(peri)Bronchial(#12) |
N3_site | hp_nsite3_11 | varchar(1) | 옵 | 0 → Lobar lymph node 침범 없음 | 11.Lobar(#13) |
N3_site | hp_nsite3_12 | varchar(1) | 옵 | 1 → Supraclavicular lymph node 침범 있음 | 12.Supraclavicular |
N3_site | hp_nsite3_13 | varchar(1) | 옵 | 1 → N3 stage 이나 침범된 상세 lymph node 는 확인이 안됨 | 99.모름 |
M인자 | hp_m | varchar(1) | 옵 | 0 → M0 | 조직학적 원격전이 여부0.M0 1.M1a 2.M1b 3.M1 NOS 9.모름 |
Pathological Stage | hp_stage | varchar(7) | 옵 | IIIA → pT1aN2M0 | Pathological stage 산출(자동계산)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1 | varchar(1) | 옵 | 0 → 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1.Squamous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2 | varchar(1) | 옵 | 1 → Adeno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2.Adeno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3 | varchar(1) | 옵 | 0 → Large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3.Large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4 | varchar(1) | 옵 | 0 → NSCLC_NOS 조직진단명 아님 | 4.NSCLC_NOS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5 | varchar(1) | 옵 | 1 → Small cell carcinoma 계열 조직진단명임 | 5.Small cell carcinoma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6 | varchar(1) | 옵 | 0 → Carcinoid tumor 계열 조직진단명 아님 | 6.Carcinoid tumor 계열 |
수술조직진단명 | s_name_7 | varchar(1) | 옵 | 1 → 기타 진단명임 | 9.기타 |
수술진단명 (text) | s_name_t | varchar(200) | 옵 | Sarcomatoid carcinoma | 9. 기타 선택시 진단명 기술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1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RUL 에 위치해 있음 | 1.RU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2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ML 에 없음 | 2.RM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3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RLL 에 없음 | 3.RL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4 | varchar(1) | 옵 | 1 → 종양이 LUL 에 위치해 있음 | 4.LU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5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LLL 에 없음 | 5.LLL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6 | varchar(1) | 옵 | 0 → 종양이 Main bronchus/carinam hilus of lung 에 없음 | 6.Main bronchus/carina, hilus of lung |
종양의 위치 | s_location_7 | varchar(1) | 옵 | 1 → 폐내에 종양이 있는 것은 확인되지만 종양의 위치를 모름 | 7.Lung, NOS |
종양의 개수 | s_number | varchar(1) | 옵 | 2 → 2개 | 1.1개 2.2개 3.3개 4.4개 5.5개 이상 9.모름 |
수술 차수(1차) | op_no | varchar(1) | 옵 | 1 → 1차 수술 시행함 | 1차 수술 시행한 경우, 1로 입력함 |
수술 시행 연월 | op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1차 수술 시행 연월 |
수술 목적 | op_object | varchar(1) | 옵 | 2 → 근치목적의 수술 시행함 | 1.Diagnosis 2.Curative 3.Palliative 9.모름 |
수술명 | op_name_1 | varchar(1) | 옵 | 1 → lobectomy 시행함 | 1.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2 | varchar(1) | 옵 | 0 → Bilobectomy 시행하지 않음 | 2.Bi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3 | varchar(1) | 옵 | 0 → Segmentectomy 시행하지 않음 | 3.Segmentectomy |
수술명 | op_name_4 | varchar(1) | 옵 | 1 → Wedge resection 시행함 | 4.Wedge resection |
수술명 | op_name_5 | varchar(1) | 옵 | 0 → Sleeve lobectomy 시행하지 않음 | 5.Sleeve lobectomy |
수술명 | op_name_6 | varchar(1) | 옵 | 0 → Pneumonectomy 시행하지 않음 | 6.Pneumonectomy |
수술명 | op_name_7 | varchar(1) | 옵 | 1 → Pleura bx 시행함 | 7.Pleura bx |
수술명 | op_name_8 | varchar(1) | 옵 | 1 → LN bx 시행함 | 8.LN bx |
수술명 | op_name_9 | varchar(1) | 옵 | 0 → 기타 수술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수술명 | op_name_10 | varchar(1) | 옵 | 1 →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수술명을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수술명 | op_name_t | varchar(200) | 옵 | Removal of brain tumor | 9.기타 선택시 기술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1 | varchar(1) | 옵 | 1 → 개흉(Thoracotomy/Open)으로 수술 시행함 | 1.개흉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2 | varchar(1) | 옵 | 1 → 흉강경(Thoracoscoy/VATS)으로 수술 시행함 | 2.흉강경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3 | varchar(1) | 옵 | 0 → 종격동경으로 수술 시행하지 않음 | 3.종격동경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4 | varchar(1) | 옵 | 0 → 로봇 수술 시행하지 않음 | 4.로봇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5 | varchar(1) | 옵 | 0 → 기타 방법으로 수술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수술접근법 | op_approach_6 | varchar(1) | 옵 | 1 →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수술 접근법을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수술법 | op_approach_t | varchar(38) | 옵 | Craniotomy | 9.기타 선택시 기술 |
부가 절제술 | op_add_1 | varchar(1) | 옵 | 1 → Pleura 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함 | 1.Pleura |
부가 절제술 | op_add_2 | varchar(1) | 옵 | 0 → Chest wall 을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2.Chest wall |
부가 절제술 | op_add_3 | varchar(1) | 옵 | 0 → Trachea 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3.Trachea |
부가 절제술 | op_add_4 | varchar(1) | 옵 | 0 → 심혈관계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4.심혈관계 |
부가 절제술 | op_add_5 | varchar(1) | 옵 | 0 → 기타 부위를 부가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 9.기타 |
부가 절제술 | op_add_6 | varchar(1) | 옵 | 1 → 부가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부위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기타 절제술 | op_describe | varchar(200) | 옵 | Lt. recurrent laryngeal nerve | 9.기타 선택시 기술 |
Mediastinal LN resection | op_lnd | varchar(1) | 옵 | 2 → Mediastinal LN resection 시행함 | 0.no 1.sampling 2.dissection 3.sampling or dissection 9.모름 |
완전절제술 | op_comp | varchar(1) | 옵 | 0 → R0 | 0.R0 1.R1 2.R2 9.모름 |
합병증 | op_cx | varchar(1) | 옵 | 1 → 수술후 합병증 있음(air leakage) | 0.없음 1.있음 2.사망(수술후30일이내) 9.모름 |
방사선치료 차수(1차) | rt | varchar(1) | 옵 | 1 → 1차 방사선 치료 시행함 | 1차 방사선 치료한 경우, 1로 입력함 |
항암치료 차수(1차) | med1_line | varchar(1) | 옵 | 1 → 1차 항암 치료 시행함 | 1차 항암 치료한 경우, 1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1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1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1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1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1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1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항암치료 차수(2차) | med2_line | varchar(1) | 옵 | 2 → 2차 항암 치료 시행함 | 2차 항암 치료한 경우, 2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2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2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2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2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2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2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항암치료 차수(3차) | med3_line | varchar(1) | 옵 | 3 → 3차 항암 치료 시행함 | 3차 항암 치료한 경우, 3로 입력함 |
치료 시행 연월 | med3_start | varchar(6) | 옵 | YYYYMM | 3차 항암 치료시행 연월 |
치료 종료 연월 (경구약투여시기재) | med3_end | varchar(6) | 옵 | YYYYMM | 경구항암제 투여할 경우, 치료종료 연월 |
투여 횟수 | med3_cycle | varchar(2) | 옵 | 3 → 투여횟수 3회 | 주사 항암치료는 3~4주, 표적치료제들은 4주를 1cycle로 계산 |
항암치료 종류 | med3_object | varchar(1) | 옵 | 2 → 수술후 보조 항암치료 시행함 | 1.Neoadjuvant chemo Tx2.AdjuvantchemoTx3.PalliativechemoTx4.NeoadjuvantCCRT5.AdjuvantCCRT6.DefinitiveCCRT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 | varchar(1) | 옵 | 1 → Cis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Cis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 | varchar(1) | 옵 | 0 → Carboplati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Carboplati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3 | varchar(1) | 옵 | 1 → Pemetrexed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3.Pemetrexed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4 | varchar(1) | 옵 | 1 → Gemcita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4.Gemcita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5 | varchar(1) | 옵 | 0 → Pacli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5.Pacli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6 | varchar(1) | 옵 | 1 → Docetaxel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6.Docetaxel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7 | varchar(1) | 옵 | 0 → Vinorelbin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7.Vinorelbin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8 | varchar(1) | 옵 | 1 → Etoposide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Etoposide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9 | varchar(1) | 옵 | 1 → Tope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9.Tope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0 | varchar(1) | 옵 | 0 → Bel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0.Bel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1 | varchar(1) | 옵 | 1 → Irinotecan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1.Irinotecan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2 | varchar(1) | 옵 | 0 → Gef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2.Gef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3 | varchar(1) | 옵 | 1 → Erl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3.Erl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4 | varchar(1) | 옵 | 1 → Af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4.Af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5 | varchar(1) | 옵 | 0 → Crizo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5.Crizo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6 | varchar(1) | 옵 | 1 → Alec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6.Alec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7 | varchar(1) | 옵 | 0 → Bevac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17.Bevac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8 | varchar(1) | 옵 | 1 → IT_MTX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8.IT_MTX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19 | varchar(1) | 옵 | 1 → 기타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88.기타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0 | varchar(1) | 옵 | 1 →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세부 항암제를 알 수 없음 | 99.모름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1 | varchar(1) | 옵 | 1 → Nivo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19. Nivol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2 | varchar(1) | 옵 | 0 → Pemb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0. Pemb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3 | varchar(1) | 옵 | 0 → Atezoliz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1. Atezolizuma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4 | varchar(1) | 옵 | 1 → Osimer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2. Osimer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5 | varchar(1) | 옵 | 1 → Ceri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함 | 23. Ceri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6 | varchar(1) | 옵 | 0 → Brigatini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4. Brigatinib |
항암치료 약물 | med3_reg_code_27 | varchar(1) | 옵 | 0 → Durvalumab 항암제로 항암치료 시행하지 않음 | 25. Durvalumab |
재발/전이 유무 | recur1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없음 | 0.No |
재발/전이 유무 | recur2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있음 | 1.Yes |
재발/전이 유무 | recur4 | varchar(1) | 옵 | 1 → 재발/전이 유무 모름 | 9.모름 |
재발/전이 확인 연월 | recur_date | varchar(6) | 옵 | YYYYMM | 재발/전이를 확인한 연월 |
최종 내원 연월 | last_followup | varchar(6) | 옵 | YYYYMM | 의무기록을 확인한 환자의 최종 내원 연월 |
치료완전성 | tx_com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치료를 시행함 | 0.No 1.Yes 9.모름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1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수술 치료를 시행함 | 1.수술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2 | varchar(1) | 옵 | 0 → 본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2.방사선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3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항암 치료를 시행함 | 3.항암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4 | varchar(1) | 옵 | 0 → 본원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4.보존적치료(supportive care) |
치료 세부 설명 | tx_com_5 | varchar(1) | 옵 | 1 → 본원에서 기타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 9.Others |
샘플코드는 PC에서 확인해주세요.